맥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라거(Lager). 특히나 우리나라에선 OB 라거가 큰 역할을 했지. 아직도 그 옛날 광고의 “랄라라~ 회오리~” 멜로디가 귀에 맴돌아. 근데, 이 라거가 도대체 뭘까?
라거 맥주의 역사는 생각보다 짧아. 지금으로부터 약 150년 전, 19세기 중후반에 냉장기술이 발전하면서 라거 맥주가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했거든. 그 전엔 **에일(Ale)**이라는 상면 발효 맥주가 주류였지. 왜냐면 당시에는 맥주를 서늘한 곳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별로 없었거든. 냉장고가 없으니 주로 지하실이나 동굴 같은 곳에서 발효를 했던 거야. 그래서 발효가 빨리 끝나는 에일이 유행할 수밖에 없었지.
라거(Lager)란 말 자체가 독일어로 창고를 뜻하는 ‘Lager’에서 왔다는 걸 보면, 저장하는 맥주라는 뜻이 맞아. 실제로도 처음엔 맥주를 오랫동안 저장해서 마실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. 근데 냉장 기술이 발달하니까, 이제는 공간이나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맥주를 발효할 수 있게 된 거야. 덕분에 하면 발효 방식의 라거 맥주가 대량으로 생산되기 시작했어. 그리고 산업혁명 덕에 대량생산된 라거가 배나 기차로 전 세계에 퍼지게 된 거지.
지금 우리가 마시는 맥주 90% 이상이 라거일 정도로 대세 중의 대세야. 특히 한국에서 생산되는 모든 맥주가 라거라고 보면 돼. 국산 맥주뿐만 아니라 하이네켄(Heineken), 버드와이저(Budweiser), 아사히(Asahi) 같은 유명한 수입 맥주들도 전부 라거지.
라거는 톡 쏘는 시원한 맛과 깔끔한 뒷맛으로 유명해. 그래서 맥주 초보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게 라거야. 가볍고 시원한데다가 쓰지 않아서 누구나 편하게 마실 수 있지. 특히 여름에 마시면 더할 나위 없이 딱이야.
라거도 종류가 다양해. 흔히 들어봤을 필스너(Pilsner), 헬레스(Helles), 복(Bock), 엑스포트(Export), 그리고 비엔나 라거라 불리는 메르젠(Maerzen) 등이 대표적이지. 이 중에서도 필스너는 홉의 쓴맛이 좀 강한 편인데, 이것도 엄연히 라거의 한 종류야. 그래서 정확히 말하자면 필스너 라거라고 부르는 게 맞겠지.
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맥주의 맛은 사실 대부분 라거 맛이야. 그래서 “맥주 맛은 다 똑같다!”는 말도 나오는 건데, 그만큼 라거가 대중의 입맛에 맞는다는 얘기지. 물론 요즘 들어선 라거 외에도 다양한 맥주들이 나오고 있지만, 에일 맥주는 아직 우리에겐 조금 낯설지. 다음엔 이 에일(Ale) 맥주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볼까?
'맥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맥주종류] Weissbier, Weizen, 밀맥주 헷갈리네? 여기서 딱 정리해보자 (4) | 2024.10.14 |
---|---|
라거가 1등, 나는 2등… 에일 맥주의 이야기 (0) | 2024.10.07 |
맥주 첨가물의 모든 것: 부가물과 첨가물, 뭘 넣는 걸까? (4) | 2024.09.19 |
맥주의 마지막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: 물 (0) | 2024.09.02 |
맥주의 핵심 구성요소 마지막 효모를 알아보자 (0) | 2024.08.27 |